[Juo-Factory]

[Juo-Factory] 스마트 무드등 본문

[Juo-Factory]

[Juo-Factory] 스마트 무드등

BaeJuo 2019. 7. 4. 13:03

오랜만에 쓰는 포스팅!.. (지난 포스팅이 4월 2일...)

원래는 스마트홈 소프트웨어를 완성해야하지만.. 생각보다 오래걸렸네요.

미루다 미루다 결국 다른 것부터 포스팅하게되는...

(사실 이것도 만든지는 꽤 됐다는 거..)

 

서론이 길었죠? 나름의 변명과 핑계... 핑계로 성공한 건 김건모 밖에 없다지만..ㅎㅎ

그럼 이제 본론으로!

 

오늘의 포스팅은 

[스마트 무드등]

 

먼저 완성 사진부터 보시죠!

스마트 무드등 완성 사진

나름 모양 나오지 않았나요? ㅎㅎ 다시 한 번 3D 프린터의 힘을 느끼는 시간이었습니다.

참고로!! 이 무드등은 다른 전원버튼이 없습니다... 오직 RF 리모컨과 릴레이를 이용한 켜고 끌 수 있는...

그런 아주 괴상한 무드등... ㅠㅠ 개선해야겠죠? ㅎㅎ

 

0. 준비물

준비물
리셉터클

 

LED 전구 (전구색)
SONOFF RF 릴레이 모듈
RF 리모컨

 

광확산 아크릴

1) LED 전구와 리셉터클

리셉터클은 최저가로 검색해서 구입!

LED 전구는 나름 이름있는 제품으로 구입했습니다.

7.5W 전구색으로 구입! 그러나... 생각했던 것 보다 너무 밝아서...

더 낮은 와트로 바꿀 계획입니다.

 

2) SONOFF RF Relay와 RF 리모컨

릴레이는 SONOFF RF 릴레이를 사용했습니다. 이사 오기 전 집에서 사용했던 제품을 재활용했습니다.

특징은 와이파이나 RF 리모컨을 이용하여 릴레이를 동작할 수 있다는 점!

이번 작업에선 RF 리모컨을 사용해 동작하도록 했습니다.

참고로 이 릴레이는 와이파이와 연결시킨 뒤 SONOFF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어가 가능한 제품입니다!

 

3) 케이스와 광확산 아크릴

케이스는 3D 프린터로 제작했습니다. 총 세 부분, 하단, 중간, 상단으로 구성했습니다.

자세한 설계와 구성은 아래에서!

빛이 자연스럽게, 그리고 은은하게 퍼져나가게 하기 위해 광확산 아크릴로 무드등 옆면을 구성했습니다.

하지만... 빛이 세서 은은한 효과가... ㅠㅠ

 

1. 제작

1) 케이스 디자인

작업은 무료이면서 강력한 3D 모델링 프로그램 '스케치업' 무료버전을 이용했습니다.

하단, 중간, 상단 세 부분으로 구성했습니다.

 

하단

모양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제일 하단의 가로 세로는 10cm입니다.

릴레이의 높이보다 상단 부분은 약간의 대각선 처리로 위로 갈 수록 케이스의 두께가 줄어들게 디자인했습니다. (설명하기 왜 이렇게 힘들죠...?ㅋㅋ)

맨 아래부분은 릴레이가 고정될 수 있게 틀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전등 자체에 발열이 심한 관계로 공기가 잘 통해 빠르게 열을 식혀주는 구조를 생각했습니다.

전구로 인해 뜨거워진 공기가 위로 빠져나가고, 아래에서 새로운 공기가 들어올 수 있게 하단 옆면으로 공기 구멍을 내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했습니다.

또한 전원 선이 들어올 수 있는 구멍도 함께 만들었습니다.

하단 케이스 중간에 틀을 만들어 광확산 아크릴과 중간 판을 지지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중간

리셉터클을 고정시킬 중간 패널입니다.

리셉터클 지름에 맞게 중앙에 원으로, 살짝 들어가 고정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공기가 잘 순환될 수 있게 구멍을 여러 개 만들었습니다.

가장자리는 광확산 아크릴을 잘 고정시킬 수 있게 높이를 높게 만들었습니다.

(조립 과정을 보시면 이해하기 편하실거에요!)

 

전체적인 모양은 정사각형으로 크기는

하단 크기 - 하단 케이스 두께 *2 - 광확산 아크릴 두께 *2

로 계산해서 만들었습니다. 

 

 

상단

상단은 간단합니다.

광확산 아크릴을 고정시킬 수 있는 틀과 뜨거운 공기가 빠져나갈 큰 구멍!

전체적인 모양은 정사각형으로 길이는 9.6cm입니다.

 

 

각각의 스케치업 파일로 디자인 해 합치는 법을 잘 모르겠....

그래서 직접 조립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그 전에 출력부터!

 

2) 출력

출력물에 대한 설명은 사진으로 대체하겠습니다.

(백문불여일견)

 

(상단 출력물은 사진 없습니다.. ㅠㅠ)

 

가지고 있는 3D 프린터가 히팅베드가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가장자리가 뜨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알아본 결과! 풀을 베드에 바르고 출력하면 뜨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리고 불현듯 스치는 하나의 장면...

프린터를 처음 개봉했을 당시....

"음? 근데 구성품으로 풀을 왜 줬지?"

그땐 몰랐던 풀의 비밀.......

소소한 에피소드였습니다^^

 

그렇게 열심히 풀을 발라 출력한 결과! 깔끔하고 이쁜 출력물!

(단, 하단 부분을 출력할 때에는 풀 바르는 걸 알지 못해.. 중간에 테이프로 가장자리 부분이 뜨지 않게 붙여서 출력했습니다.. ㅠㅠ 하지만 뜨는 것을 막을 수 없어 저렇게... ㅠㅠ)

 

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

하단 출력시간: 약 8시간 (밤새 출력..)

중간 출력시간: 약 1시간 30분

상단 출력시간: 약 3시간...

인것 같아요...ㅋㅋ

 

이렇게 출력도 완성!

 

3) 조립

조립은 총 3 단계, 리셉터클 연결, 릴레이 연결, 케이스 조립으로 진행했습니다.

 

리셉터클 연결

먼저 리셉터클을 분리합니다.

그리고 전선을 양쪽 나사에 각각 고정시켜줍니다.

어느 전선이 어디에 연결되는지 아무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

 

릴레이 연결

릴레이 양쪽에 적혀있는 IN, OUT을 잘 확인한 뒤,

Input에는 플러그가 있는 전선을, Output에는 리셉터클과 연결된 전선을 연결시킵니다.

이때도 전선을 어느 곳에 연결 하실 지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 그냥 무조건 연결 연결~

이때 플러그는 하단에 있는 전선 구멍을 통과시켜 연결합니다. (플러그가 바깥쪽으로 나갈 수 있게!)

연결이 완료되면 릴레이를 하단 케이스 릴레이 고정 영역에 장착시켜줍니다.

최대한 흔들리지 않게,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전선이 빠지지 않게 잘 고정시켜 줍니다.

(저는 아직 고정을 못시켜서... 추후 글루건으로 전선 등을 고정시켜 줄 예정입니다.)

그렇게 해서 하단 케이스와 중간 리셉터클 패널을 연결 시키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모양이 됩니다.

이제 마지막, 조립 단계만 남았습니다.

 

케이스 조립

여기서는 작업이 조금 복잡할 수 있습니다!

 

먼저 광확산 아크릴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크기는 높이 16cm로 두 장은 가로 92mm, 두 장은 가로 88mm, 두께는 4장 모두 2mm입니다.

네 장의 아크릴 판으로 사각형을 만들 경우 가로 세로 92mm 정사각형 사각 기둥이 만들어집니다.

이 네 장의 아크릴을 먼저 하단에 있는 틀에 꽂아줍니다.

(아래 사진은 상단에 꽂은 모양입니다.. ㅎㅎ)

 

하단 케이스에 아크릴을 조립하면서 중간 패널도 함께 조립합니다. 

생각보다 디자인을 딱 맞게 해서 오히려 뻑뻑한 느낌으로 조립이 되네요 ㅠㅠ 다음부턴 조금 크기를 크게(1mm의 여유)!

상단 뚜껑을 닫기 전에 먼저 테스트~!

잘 들어옵니다!

이제 뚜껑까지 덮으면!

짜라란~ 완성된 모습입니다!

위에서 보면 이렇게...!

(근데 전구가 왜 비뚤어져 있지;;;;)

 

마지막으로 동작 영상을 보시겠습니다!

스마트 무드등 동작 영상

 

이상으로 스마트 무드등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주세요^^

Comments